놀이동산 통합정보관리시스템-장비관리시스템
프로젝트 발표날짜 : 2021. 07. 19

스마트 콘텐츠 융합 응용SW 엔지니어 양성과정(7) 1회차
팀장/팀원 | 김**(팀장) : 분석: 요구사항정의명세서 개발: 테이블 개발, 화면개발, 서비스개발 |
---|---|
송** : 분석: 비지니스프로세스정의, 유스케이스 개발: 서비스개발 | |
모** : 설계: 클래스 설계 | |
이** : 설계: 화면설계 개발: 화면개발 | |
장** : 설계: 테이블 설계 개발: 테이블 개발 | |
개요 | 시설도입 담당자는 국내/외에 존재하는 다수의 공급업체(놀이시설 업체)의 정보를 관리한다. 담당자는 각 업체에 대해 업체는 국내/국외코드(D/A), 공급업체코드, 공급업체명, 주소, 연락처, 담당자, 업체 등록일자 등으로 구성된 구성된 정보를 등록하거나 수정한다. 담당자는 해당 화면에서 공급업체코드, 공급업체명으로 업체를 조회할 수 있어야 한다. 담당자는 장비대장관리를 통해 놀이 동산에 설치된 모든 장비에 대한 정보를 조회한다. 각각의 장비는 장비코드가 부여 되어 있어, 장비코드를 이용해 조회하면 장비명, 공급업체와 장비설치위치 및 장비수명 정보 등이 보관된 장비마스터 테이블(DB)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장비설비위치(DB)는 장비코드와 장비설치 위치명으로 구성된 별도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시설도입 담당자는 장비수명 정보를 이용해 년 단위 신규 장비 도입 계획서를 작성한다. 장비 도입 계획서 작성할 때 도입계획명과 장비도입내역을 화면에 직접 입력하게 되는데 저장하면 도입계획번호가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된다. 신규 장비도입계획서는 신규장비 도입계획서 조회화면에서 조회 가능하며 시설팀장은 해당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해 상세정보를 조회하고 상세조회 화면 하단에 있는 승인버튼을 눌러 승인하게 된다. 이 정보는 별도의 신규장비 도입계획서 테이블(DB)에 계획번호, 계획명, 계획내역서, 승인여부 항목이 존재하며, 승인여부 정보만 변경처리 된다. 이렇게 승인된 내용은 기안자는 동일한 화면에 대해 조회 조건 중 승인여부를 선택해 승인된 목록을 확인한다. 시설도입 담당자는 승인된 도입계획서를 기초로 공급업체를 조회해 확인한 연락처로 연락해 협의 날짜를 정해 협의하게 되면 협의 결과는 시설도입협의 테이블(DB)에 놀이동산 담당자명, 공급업체 담당자명, 협의내역 등을 도입계획번호와 함께 저장한다. 가격 및 도입일자가 최종결정 되면, 계약서 서식에 계약 내용을 입력해 저장하여 보고하며, 보고된 내용은 시설팀장의 승인과정을 거쳐 최종 종료된다.(승인된 계약서) 장비점검 담당자는 시설도입담당자가 등록한 장비정보를 이용해 별도의 화면에서 장비별 장비 점검 주기를 등록한다. 점검주기는 일일(/주간/월간/반기/분기/년간 생략) 점검 등이 있으며, 모든 장비는 점검 주기가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장비점검 주기가 결정되면 담당자는 장비점검 파트에 존재하는 모든 직원들을 조회한다. 일일 점검주기 스케줄, 주간 점검스케줄, 월간 점검스케줄을 작성한다. 일일 점검주기 스케줄은 장비명, 위치명, 점검자, 장비점검시작, 장비점검종료, 장비점검결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간/월간 등도 동일 생략) 장비스케줄이 정해지면 장비점검 파트 직원이 본인 아이디로 로그인해 장비 점검 스케줄 화면으로 이동해 확인할 수 있다. 이를 간략화 하기 위해 장비스케줄 화면에서 콤보박스에서 본인 이름을 선택해 조회하며, 조회결과 장비명, 위치명, 점검자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장비점검시작 전 장비점검시작 버튼을 눌러 장비점검이 시작되었음을 장비점검 담당자가 확인할 수 있다. 장비점검이 완료되면 장비점검종료 버튼을 눌러 장비 점검 담당자가 장비점검이 종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장비점검 완료할 때는 장비점검 결과를 정상/비정상으로 구분해 등록해야 한다. 장비점검 전체가 완료되면, 장비점검 담당자는 장비점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장비 점검결과 중 비정상으로 등록된 장비가 있다면, 별도로 점검작업자 중 1인을 선택해 구두도(시스템 아님) 장비재검을 하게 한다. 비정상 장비를 점검을 배당 받은 자는 장비상태를 확인해 별도의 화면에 수리(가능)/교체(수리불가)여부를 등록한다. 수리의 경우는 수리로 등록하고 수리부품재고에 반영하고 작업이 완료되지만, 만약 교체로 결과가 나온다면 시설도입 담당자에게 통보해 신규장비도입계획서에 반영되도록 해야한다. 앞서 수리와 연관되어 회사 내에는 수리를 위한 부품에 대해 재고로 관리되고 있다. 수리부품 재고/발주담당자는 사내 배치된 놀이기구 수리에 사용될 수리부품에 대한 재고관리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고는 이전재고, 당일사용량, 현재고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부품신청화면이 존재하지는 않으며, 구두로 통보가 오면 수리부품을 내어주고 당일사용량을 직접 입력한다. 당일사용량이 입력되면 이전재고는 그대로 있고 당일사용량만큼 빠져 현재고 수량이 바뀌게 된다. 다음날짜가 되어 재고반영버튼을 누르면 다음날짜로 전일자 현재고가 이전재고로, 당일사용량은 0으로 현재고는 그대로 가져와 저장된다. |
구현기능 | 장비도입관리 장비검사관리 장비재고관리 |
설계의 주안점 | 사용자 친화형 인터페이스 구현 클래스간 연계성을 최소화를 통해 개발자 독립적 기능 개발 및 테스트 효율성 향상 |
사용기술 및 개발환경 |
언어: 자바, 자바 스크립트 개발툴: 이클립스(STS 3.8.4) 개발프레임워크: 스프링 프레임워크 3.2.18 서버: 톰캣9, 오라클 11G |
![]() ![]() |